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 

    농업인 여러분의 소득을 안정적으로 지원하는 농업직불금! 매년 신청 시기와 방법이 헷갈리시죠? 2025년 최신 농업직불금 신청 정보를 자세히 설명 드리겠습니다.  신청기간이 지나면 당해년도 직불금을 받을 수 없으니 반드시 기간 내 신청하시길 바랍니다. 

     

     

    아래 버튼 통해 공익직불금 확인 하세요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농업직불금 신청기간

     

    농업직불금 통합 신청기간: 2025년 3월 2일 ~ 5월 31일

    • 접수 시작일: 2025년 3월 2일 (월)
    • 접수 마감일: 2025년 5월 31일 (토)
    • 이의신청 기간: 2025년 6월 1일 ~ 6월 15일

    농업직불금 신청
    농업직불금 신청기간

     

     농업직불금 종류별 정리

     

    1. 기본형 공익직불제

    • 소농직불금: 경지면적 0.5ha 이하 소규모 농가 대상 (연 200만원 정액)
    • 면적직불금: 경지면적에 따라 차등 지급 (0.1~0.5ha, 0.5~1ha, 1~2ha, 2~3ha, 3ha 이상)

    2. 선택형 공익직불제

    • 친환경농업직불금: 친환경인증 농가 대상
    • 친환경안전축산물직불금: 친환경 축산물 인증 농가
    • 경관보전직불금: 경관작물 재배 농가
    • 논활용직불금: 논이모작 및 논타작물 재배 농가

     

     농업직불금 신청자격

     

    기본 자격요건

    • 농업인: 1,000㎡ 이상 농지 경작 또는 연간 농산물 판매액 120만원 이상
    • 후계농업인: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인정한 자
    • 전업농: 전체 소득 중 농업소득이 50% 이상인 자

    지급 제외 대상

    • 농업 외 종합소득이 3,700만원 이상인 자
    • 부동산 자산이 10억원 이상인 자 (영농종사자는 15억원)
    • 농지 불법 전용 및 휴경 농지 보유자

     

    농업직불금 신청방법

     

    방법 1: 농지소재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

    1. 신청서와 필요 서류 준비
    2. 농지 소재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
    3. 담당 공무원 상담 후 신청서 제출
    4. 접수증 수령

    방법 2: 온라인 신청 (농림사업정보시스템)

    1. 농림사업정보시스템(Agrix) 접속 www.agrix.go.kr
    2. 농업경영체 등록번호와 비밀번호로 로그인
    3. '공익직불제' 메뉴 → '신청' 클릭
    4. 신청정보 입력 및 필요 서류 첨부
    5. 최종 제출

    온라인 신청은 24시간 가능하면 대기시간이 없어 편리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아래 버튼 누르시면 신청 홈페이지 이동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농업직불금 신청 필요서류

     

    공통 필수서류

    • 농업직불금 신청서 (주민센터 비치 또는 온라인 다운로드)
    • 농업경영체 등록확인서 (미등록자는 신규 등록 필요)
    • 신분증
    • 통장사본 (직불금 입금용)

    추가 제출서류 (해당자에 한함)

    • 임대차계약서 (타인 농지 경작 시)
    • 영농일지 (친환경직불금 신청 시)
    • 경작사실확인서 (실제 경작자 증명 필요 시)

     

     2025년 농업직불금 지급 시기 및 금액

     

    지급 시기

    • 1차 지급: 2025년 9월 중순 (직불금의 70%)
    • 2차 지급: 2025년 11월 말 (잔여 직불금 30%)

    예상 지급 단가 (ha당)

    • : 평균 250만원 (진흥지역 기준)
    • : 평균 220만원 (진흥지역 기준)
    • 과수원: 평균 240만원 (진흥지역 기준)

     

    아래 버튼 통해 직불금 미리 계산 해보세요

     

     

    실제 지급 금액은 농가별 면적, 지역, 준수사항 이행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농업직불금 신청 시 주의사항

     

    1. 농업경영체 등록 필수: 경영체 미등록자는 직불금 신청 불가
    2. 실제 경작자만 신청 가능: 서류상 명의자라도 실제 경작하지 않으면 부정수급
    3. 직불금 준수사항 이행: 영농일지 작성, 농약 안전사용기준 준수 등
    4. 이중신청 금지: 한 농지에 두 명 이상 신청 시 모두 무효 처리
    5. 농지 변동사항 신고: 매매, 임대차 등 변동 발생 시 30일 이내 신고

     농업직불금 신청기간
     농업직불금 신청기간
     농업직불금 신청기간

     

     자주 묻는 질문

     

    Q: 농업경영체 등록은 어디서 하나요?
    A: 농지 소재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에서 가능합니다. 온라인으로는 농림사업정보시스템(Agrix)에서 등록할 수 있어요.
    Q: 직불금 부정수급 시 어떤 처벌을 받나요?
    A: 부정수급액 전액 환수는 물론, 최대 5년간 직불금 신청 제한과 함께 형사고발 될 수 있습니다.
    Q: 신규 귀농인도 직불금을 받을 수 있나요?
    A: 네, 농업경영체 등록 후 실제 영농에 종사하면 신청 가능합니다. 단, 직전 3년간 해당 농지의 직불금 수령 이력이 있어야 합니다.
    Q: 직불금 신청 후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?
    A: 농림사업정보시스템(Agrix) 또는 모바일 앱 '농업인 맞춤형 농정서비스'에서 신청 현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   농업직불금 관련 문의처

     

    • 농림축산식품부 콜센터: 1588-0075
    • 농지 소재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
    •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: 1644-8778
    • 농업직불금 종합상담센터: 1644-8778 (평일 9:00~18:00)

     

     농업직불금 신청기간

     

     농업직불금 신청기간
     농업직불금 신청기간